목록통신 (5)
DecordRay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Fr1uv/btsswVwmMBj/bKgd2VaUsKQBqGKaOUfiXk/img.png)
MDI란? 구내 정보 통신망(LAN)의 계층 모델로서, 전송 매체(동축 케이블)가 물리층(L1)의 물리 매체 접속 장치(PMA)를 잇는 인터페이스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즉, 한마디로 정의하면 스위치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들을 잇는 인터페이스이다. 그렇다면 MDI-X는 무엇인가? MDI-X는 아래 그림을 통해 확인하는것이 더 이해가 쉬울 것이므로 바로 그림과 함께 설명드리겠습니다. 보통 UTP 케이블은 MDI 규격에 맞춰서 1,2번 케이블로 송신을 하고 3,6번 케이블로 수신을 합니다. 반대로 MDI-X는 1,2번 케이블로 수신을 하고 3,6번 케이블로 송신을 합니다. 즉 MDI와 MDI-X는 서로 송수신 방식이 반대입니다. 같은 계층의 장비일 경우(Ex 라우터 - 라우터) 예를들어, 한쪽 장비는 MD..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xpmC6/btr2D0RCCV2/3pcf30lUIflk2ln4fgIkEK/img.png)
네트워크 토폴로지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네트워크의 주요 구성 요소들이 물리적으로 연결된 방식을 의미 가장 기본적인 네트워크 토폴로지 종류는 버스형, 스타형, 링형이 있다. 가장 기본적인 네트워크 토폴로지인 스타형, 링형, 버스형을 알아보자! 스타형 각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전달되는 경로가 단일 경로인 네트워크 구조이다. 중앙의 제어 노드를 중심으로 각 노드의 연결은 중앙 제어 장치를 통해 이루어진다. 한 곳에 데이터가 집중되므로, 이를 관리하는 시스템이 전체의 성능에 큰 영향을 준다. 대표적인 구조로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이 있다. ATM : 데이터를 53 바이트의 셀 또는 패킷으로 나누어, 디지털 신호 기술을 사용한 매체를 통하여 전송하는 기술 - 셀들은 ATM Swt..
주로 사용되는 포트들에 대해 알아보자! 포트 서비스 설명 20 FTP Data File Transfer Protocol-Datagram FTP 연결 시 실제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21 FTP File Transfer Protocol-Control FTP 연결 시 인증과 제어를 한다. 23 Telnet 텔넷 서비스로, 원격지 서버의 실행 창을 얻어낸다. 25 SMTP Simple Message Transfer Protocol 메일을 보낼 때 사용한다. 53 DNS Domain Name Service 이름을 해석하는데 사용한다. 69 TFTP 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 인증이 존재하지 않는 단순한 파일 전송에 사용한다. 80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wcgi/btr2H5qJqnA/puicwkIg2lUOBWdZ87f8Hk/img.png)
네트워크 공부 간 알아야 하는 용어들을 한 번 정리하고 가보자! 프로토콜(Protocol)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들끼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미리 약속한 전송 규약 및 규칙 즉, 서로 다른 시스템에 있는 개체 간에 성공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규약이다.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PDU)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rotocol Data Unit)는 데이터 통신에서 상위 계층이 전달한 데이터에 붙이는 제어정보를 뜻한다. 모든 계층에서, 우리가 전송하는 데이터를 데이터라고 부를까? PDU를 알고난 후 부터는 그렇지 않을 것이다. 물론 데이터 자체는 동일하지만 각 레이어를 거치면서 헤더 정보가 추가되면서 이름이 달라진다. 쉽게 생각하면 사용자는 Data 라고 부르고, TCP는 Segment 라고 부르..
네트워크 지식에 있어 근간이 되는 OSI 7 계층에 대해 알아보자!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 계층 다른 시스템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ISO(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제안한 7단계 표준화 프로토콜 계층 계층명 7 계층 어플리케이션 계층 6 계층 표현 계층 5 계층 세션 계층 4 계층 전송 계층 3 계층 네트워크 계층 2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1 계층 물리 계층 송신측(발신자)에서 7계층부터 1계층까지 처리한 후 데이터를 전송하면 수신측(수신자)에서 1계층부터 7계층 순으로 해석한다. 1~4 계층을 하위 계층이라고 부르며 5~7 계층을 상위 계층이라고 부른다. + 하위계층으로 갈수록 하드웨어에 가까워지고, 상위계층으로 갈수록 소프트웨어에 더 가깝다. 1 계층 : 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