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스위치 (5)
DecordRay
10 : 속도를 나타낸다. 10Mbps의 속도를 지원하는 케이블을 의미한다. Base : 케이블 종류를 나타낸다. Baseband와 Broadband가 있다. 베이스밴드는 디지털 방식이고 브로드 밴드는 아날로그 방식이다. T : 케이블 종류 또는 최대 전송 거리를 나타낸다. T란, TP(Twisted Pair)케이블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보통 사용하는 UTP 케이블) 글자가 나오지 않고 숫자가 나오면, 예를 들어 10 Base 5일 때 맨 뒤에 나오는 숫자는 최대 통신 거리이다. 따라서 500미터까지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뜻한다. 케이블 카테고리 종류 카테고리 1 : 주로 전화망에 사용하는 용도로 만들어진 케이블 카테고리 2: 데이터를 4Mbps의 속도로 전송하는 케이블 (현재 사용하지 않음) 카테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hSZbp/btssvWIO3mT/Izzn1K7w0x70vzDotjBtu0/img.png)
포트별 연결속도 확인 방법 sh interfaces status 명령어를 통해 해당 스위치에 물려있는 포트들의 연결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Cisco스위치에서 각각 포트별 연결속도 확인을 통해 할 수 있는 것은? 사내에서 무선이 아닌 유선으로 인터넷을 사용할 경우 위 이미지와 같이 Speed가 100Mbps가 아닌 10Mbps 일 경우 허브나 유선랜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확인을 해봐야한다.(보통 이럴 경우 실무 부서에서 전화가온다. 인터넷이 느려요!) 실제 원격을 붙어서 확인해보면 해당 이미지처럼 속도가 10.0Mbps인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기존 속도인 100Mbps보다 10분의 1정도밖에 안되니 인터넷이 당연히 느릴 수 밖에 없다. 우선적으로 sh interfaces status 명령어를..
no ip redirects ICMP redirects는 라우터가 로컬 서브넷의 호스트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로서 다른 라우터를 사용하게끔 하는 기능으로, 호스트가 보유한 라우팅 테이블이 최적의 정보를 갖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악의적인 공격자들은 이런 기능을 이용하여 ICMP redirect를 전송하여 네트워크를 지나는 패킷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no ip unreachables Cisco 장비의 경우 ICMP unreachable 메시지는 목적지 호스트가 네트워크상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네트워크 장비가 소스 호스트에 전송하는 메시지로서 이를 악용하는 불법 사용자는 이 기능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에 실제로 동작하는 장비를 리스팅하고 스캔 범위를 결정하게 된다. no ip proxy-arp C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bqH0/btsr0sb5YRo/B0IPwF4EKcSGEKTIkKxJhk/img.png)
show interface status - 스위치의 각 포트별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 *단축 명령어 - sh int status 스위치의 전체 인터페이스 연결 상태와 소속 VLAN 번호, duplex, 속도, 타입을 한꺼번에 확인하려면 show interfaces status 명령어를 사용한다. 1. Port는 인터페이스 번호를 표시한다. Gi - GigabitEthernet을 의미 Fa - FastEthernet을 의미 뒤에 숫자들은 스위치의 각 포트 번호를 의미 2. Name 은 인터페이스의 설명(description)을 표시한다. 3. Status는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표시한다. 다른 장비와 연결된 링크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 : connected 다른 장비와 연결되어 있지 않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sq7W/btsdlKqO1Kk/nlwdtITV1eicUeuEe8DtNK/img.png)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인터넷에서 장치들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즉, 네트워크에 있는 장비들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 일반적으로 서버, 네트워크 장비, SNMP 설정이 가능한 장비들에 SNMP를 설정하면 SNMP서버에서 그 장비들에 대한 정보(CPU 사용률, 포트 Up/Down, Memory 사용률 등)를 수집하여 NMS나 SMS같은 프로그램에서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MIB/OID 값을 가지고 정보를 수집한다.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 : 관리 되어야 할 특정한 정보, 자원을 객체라 하고 이러한 객체들을 모아놓은 집합체를 MIB라 한다. 즉 관리자가 조회하거나 설정할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