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250x250
반응형
DecordRay
네트워크 토폴로지 본문
728x90
반응형
네트워크 토폴로지
-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네트워크의 주요 구성 요소들이 물리적으로 연결된 방식을 의미
- 가장 기본적인 네트워크 토폴로지 종류는 버스형, 스타형, 링형이 있다.
가장 기본적인 네트워크 토폴로지인 스타형, 링형, 버스형을 알아보자!
스타형

- 각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전달되는 경로가 단일 경로인 네트워크 구조이다.
- 중앙의 제어 노드를 중심으로 각 노드의 연결은 중앙 제어 장치를 통해 이루어진다.
- 한 곳에 데이터가 집중되므로, 이를 관리하는 시스템이 전체의 성능에 큰 영향을 준다.
- 대표적인 구조로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이 있다.
ATM : 데이터를 53 바이트의 셀 또는 패킷으로 나누어, 디지털 신호 기술을 사용한 매체를 통하여 전송하는 기술
- 셀들은 ATM Swtich라 불리는 장치를 통해 ATM 네트워크를 통과한다.
링형

- 데이터의 흐름은 단 방향으로만 진행된다.
- 충돌 네트워크가 아님으로 동일 스펙의 버스형보다 성능이 우월하다.
- 버스형이나 스타형과 달리 노드 구성에 단말기가 거의 없다.
- 국내에서 많이 사용된 링형은 FDDI(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가 있다.
- FDDI 망은 반대 방향으로 동작하는 주링(Primary ring)과 부링(Secondary ring)의 이중 링(Dual ring)과 이 링에 연결되는 스테이션(station)들로 구성된다.

- 위의 사진과 같이 FDDI는 주링과 부링으로 이중링으로 형성되어있으며, 각 링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데이터가 흐르고 있다. (토큰 방식은 아님)

- FDDI는 라인이 하나 끊어져도, 이중화 선의 통신이 다시 회전하여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 해당 기능이 있어, 병원이나 군대에서 많이 쓰인 기술이다.
버스형

- 가장 대표적인 패킷망 네트워크이다.
- 현대에 가장 많이 사용되며, LAN 망의 99% 이상이 버스형이다.
- 복잡한 장비 없이 구성됨으로 가성비가 우수하다.
-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이더넷(Ethernet) 또한 버스형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사용하고 있다.
다만, 세가지 토폴로지의 특성(장애가 다른 노드에 영향을 끼치는 정도, 장애 node에 대한 관리 비용, 구현 회선의 길이 등)은 현재 네트워크에서 큰 의미는 없다.
그렇다면, 현재 우리가 많이 사용하고 있는 이더넷(Ethernet)이 무엇인지, 어떤 프로토콜로 운영되는지에 대하여 다음 글에서 알아보도록 하자.
728x90
반응형
'공부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전 모드 vs 최대 절전 모드 (0) | 2023.03.10 |
---|---|
이더넷 (0) | 2023.03.08 |
주요 포트와 서비스 (0) | 2023.03.08 |
네트워크 관련 용어 정리 (0) | 2023.03.08 |
OSI 7 계층 (0) | 2023.03.08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