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250x250
반응형
DecordRay
이더넷 본문
728x90
반응형
이더넷(Ethernet)
데이터 링크 계층에 해당하며,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버스형의 대표적인 형식이다.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
- 이더넷은 CSMA/CD 방식을 통해 사용된다. CSMA/CD 방식이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에 대하여 알아보자.
CSMA/CD는 3가지 기능으로 나눠볼 수 있다.
- Carrier Sense
- Multiple Access
- Collision Detect

- Carrier Sense : 하나의 케이블에는 하나의 패킷만이 이동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에 흘러가는 패킷이 있는지에 대해 검사하는 기능이다.
- Multiple Access : 'Carrier Sense' 이후, 케이블에 패킷이 없음을 확인한 경우 네트워크에 패킷을 송신하는 기능이다.
- 다만, 패킷 전송 시에 패킷은 모든 스테이션에 동시에 전달되게 된다.
- Collision Detect : 'Multiple Access' 이후, 패킷이 모든 스테이션에 동시에 전달되면 네트워크 상에 충돌이 일어날 수도 있다. 해당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Collision Detect' 기능을 이용한다.
- 충돌 발생 시에는 송신을 잠시 멈추고, 케이블이 비어있을 때에 다시 송신을 한다.
이더넷의 성능
- 현재 이더넷은 전 세계 수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만약 많은 사용자가 이더넷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있다면, 네트워크 상태는계속 안정적일 수 있을까?
=> 일정 수준 이상으로 노드가 증가하면, 각 노드가 사용 가능한 대역폭이 줄어든다.
=> 노드가 일정 수준을 넘어가면, 충돌(Collision) 발생 확률이 높아지며 네트워크의 가용성이 심각하게 저하되게 된다.
- 그래프로 그려본다면, 아래와 같을 것이다.

위의 그림과 같이, 이더넷은 단일 세그먼트만으로 모든 노드의 수용이 불가능하다.
728x90
반응형
'공부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휘발성 vs 휘발성 메모리 (0) | 2023.03.10 |
---|---|
절전 모드 vs 최대 절전 모드 (0) | 2023.03.10 |
네트워크 토폴로지 (0) | 2023.03.08 |
주요 포트와 서비스 (0) | 2023.03.08 |
네트워크 관련 용어 정리 (0) | 2023.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