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공부 (40)
DecordRay

트렌잭션이란? -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 단위 즉, 상태를 변화시킨다는 것 → SQL 질의어를 통해 DB에 접근하는 것 Ex) SELECT, INSERT, DELETE, UPDATE 작업 단위 → 많은 SQL 명령문들을 사람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정하는 것 예시)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만원을 송금한다. * 이때 DB 작업 - 1. 사용자 A의 계좌에서 만원을 차감한다 : UPDATE 문을 사용해 사용자 A의 잔고를 변경 - 2. 사용자 B의 계좌에 만원을 추가한다 : UPDATE 문을 사용해 사용자 B의 잔고를 변경 현재 작업 단위 : 출금 UPDATE문 + 입금 UPDATE문 → 이를 통틀어 하나의 트랜잭션이라고 한다. - 위 두 쿼리문 모두 성공적으로 완료되어야만 "..
문자 데이터 타입 데이터타입 설명 CHAR(n) 고정길이 문자 / 최대 2000byte / 디폴트 값은 1byte VARCHAR2(n) 가변길이 문자 / 최대 4000BYTE / 디폴트 값은 1byte NCHAR(n) 고정길이 유니코드 문자(다국어 입력가능) / 최대 2000byte / 디폴트 값은 1byte NVARCHAR(n) 가변길이 유니코드 문자(다국어 입력가능) / 최대 2000byte / 디폴트 값은 1byte LONG 최대 2GB 크기의 가변길이 문자형 CLOB 대용량 텍스트 데이터 타입(최대 4Gbyte) NCLOB 대용량 텍스트 유니코드 데이터 타입(최대 4Gbyte) 가변길이란 실제 입력된 데이터 길이에 따라서 크기가 변하는 것을 의미 ex) 예를들어 가변형 문자형 데이터타입인 Varc..

1. JDBC(Java Database Connectivity) 개요 1. 1 JDBC(Java Database Connectivity) 개념 특정 DBMS와의 비종속적인 데이터베이스 연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제공되는 자바 표준 API -> 쉽게 말해 데이터베이스가 변경되어도 자바 프로그램을 수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 1.2 JDBC 구조 및 프로그램 절차 클래스 기능 DriverManager DBMS에서 제공하는 Driver를 관리한다. DriverManger를 통해 Connection 객체를 얻을 수 있다. Connection Connection은 특정 DBMS와 연결된 객체다. Statement 작성된 SQL 명령어를 DBMS에 전달해주는 객체로서, Connection으로부터 획득한다. Resul..

서버 구현에 있어 필수적으로 알아야되는 Web Server와 Was의 차이점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Static Pages와 Dynamic Pages 1. Static Pages Web Server는 파일 경로 이름을 받아 경로와 일치하는 file contents를 반환한다. 항상 동일한 페이지를 반환한다. Ex) image, html, css, javascript 파일과 같이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 2. Dynamic Pages 인자의 내용에 맞게 동적인 contents를 반환한다. 즉, 웹 서버에 의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만들어진 결과물 *Servlet:Was 위에서 돌아가는 Java Program 개발자는 Servlet에 doGet()을 구현한다. Web Server와 Was의 차..

주석 Ctrl + Shift + / : 블록을 주석으로 처리 (/* */) Ctrl + Shift + \ : 블록 주석을 해제 Ctrl + / : 한줄 or 블록 주석 처리 / 해제 (//) 검색 Ctrl + F : 키워드 검색 (해당 소스에서만) Ctrl + H : 키워드 검색 (프로젝트 전체에서) Ctrl + Shift + R : 전체 리소스에서 파일 찾기 Ctrl + Shift + T : Jar 포함 클래스 찾기 Ctrl + Alt + H : 특정 클래스 호출 위치 찾기 Ctrl + K : 찾을 문자열을 블럭으로 지정하고 검색 Ctrl + Shift + K : 밑에서 문자열 검색 위치 이동 Ctrl + 특정 클래스 마우스 왼쪽 클릭(F3) : 특정 클래스로 이동 Ctrl + O : 소스의 메소드 리..

컴퓨터의 전원을 원격으로 키는 방법인 wol(wake on lan)에 대해 알아보자! wol(wake on lan) 원격으로 인터넷에 연결된 PC의 전원을 킬 수 있는 기능 원리 컴퓨터의 전원을 종료하더라도 메인보드에서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전제조건 - PC 메인보드에 해당 기능이 있을 경우만 사용가능) 따라서 인터넷 카드에 Lan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이를 통해 신호를 전달하면 메인보드가 이를 감지하고 전원을 켜주는 역할을 해준다. 문제점 대부분 공유기(Ex - NAT기능이 탑재된 와이파이)를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내부에 있는 PC를 들여다볼 수 없다. (이게 무슨 말인가? -> 공인 IP와 사설 IP의 이해가 필요한데 이 부분은 이 글을 참고) 따라서 공유기 설정을 통해 외부에서..

회사에서 주로 사용하는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에 대해 알아보자!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공인 IP주소를 사설 IP주소로 바꿔주는 데 사용하는 통신망의 주소 변환기 (+ 라우터(router)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다수의 사설 IP를 하나의 공인 IP주소로 변환하는 기술) NAT를 사용하는 목적 1. 인터넷의 공인 IP주소를 절약할 수 있다. 2. 인터넷이란 공공망과 연결되는 사용자들의 고유한 사설망을 침입자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why? 1. 인터넷의 공인 IP주소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급적 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 2. 보안 측면에서도 다수의 사설 IP주소를 가지는 것보다 하나의 공인 IP를 사용하는 것이..

자바(Java) 환경변수 설정 이유 환경 변수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설정 정보가 담겨있는 변수입니다. 윈도우에서 명령 프롬프트 (cmd)로 파일을 찾거나 실행을 시킬 때 현재 위치에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위와 같이 "내부 또는 외부 명령,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배치 파일이 아닙니다." 라는 에러가 발생하며 실행하려는 파일이 존재하는 위치로 이동해야만 합니다. 하지만 자바 실행파일의 경로가 환경변수 path에 제대로 세팅되어 있다면 어느 곳에서 나 jdk의 bin에 있는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즉 자바를 설치한 후 환경변수를 설정해줘야 하는 이유는 운영체제 어디에서든지 자바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특히 jdk bin폴더에 있는 javac 컴파일러의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