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cordRay

wol(wake on lan)이란? 본문

공부/네트워크

wol(wake on lan)이란?

DecordRay 2023. 3. 13. 10:11
728x90
반응형
컴퓨터의 전원을 원격으로 키는 방법인 wol(wake on lan)에 대해 알아보자!

wol(wake on lan)

원격으로 인터넷에 연결된 PC의 전원을 킬 수 있는 기능

 

원리

컴퓨터의 전원을 종료하더라도 메인보드에서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전제조건 - PC 메인보드에 해당 기능이 있을 경우만 사용가능)

따라서 인터넷 카드에 Lan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이를 통해 신호를 전달하면 메인보드가 이를 감지하고 전원을 켜주는 역할을 해준다.

 

문제점

대부분 공유기(Ex - NAT기능이 탑재된 와이파이)를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내부에 있는 PC를 들여다볼 수 없다.

(이게 무슨 말인가? -> 공인 IP와 사설 IP의 이해가 필요한데 이 부분은  글을 참고)

따라서 공유기 설정을 통해 외부에서 들어온 신호를 공유기가 내 컴퓨터로 연결해 주어야 한다.

일부 공유기에서는 wol 기능을 정식 지원하며, 지원하지 않는 공유기에서도 포트포워딩을 통해 wol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 여기서 포트포워딩이란?

내부 네트워크의 포트인터넷의 포트를 연결시켜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열어주는 것

라우터NAT서 처리하는 기능

쉽게 말해 인터넷을 연결할때 어떤 컴퓨터에서 웹 서버를 요청했는지를 IP주소에 포트번호 매핑을 통해 판별해주는 것


wol은 왜 필요한가? 

Ex)

갑작스러운 회사일로 급하게 처리해야 하는 일이 생기는 경우가 종종 생기는데

그 작업이 회사 컴퓨터에서만 처리할 수 있다면 주말에도 회사에 출근을 해야 할까?

물론 구글 원격 데스크톱을 통해 회사의 컴퓨터를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업무를 볼 수 있지만,이 경우는 회사의 PC가 켜져 있다는 가정하에 가능한 일이다.

그렇다면 회사 PC가 절전 모드가 아닌 최대 절전 모드 or 시스템 종료된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할까?

(절전 모드와 최대 절전모드에 차이를 알고 싶다면 이 글을 참고)

PC를 켜기 전까지는 원격 데스크톱 연결이 불가능하다.

이럴때 사용하는 방법이 바로 wol(wake on lake) 기능이다.


wol(wake on lan) 기능 사용 방법

1. 메인보드 설정

컴퓨터를 켠 후 BIOS 메뉴로 들어가서 wake on lan이라는 메뉴를 찾아 활성화 해주면 된다.

BIOS 화면으로 들어가는 방법은 메인보드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ESC키나 F12키를 계속해서 눌러주면 된다.

제조사별 BIOS 접근 방법

만약 단축키로 BIOS 화면에 접근할 수 없다면?

(해당 글을 참고)

 

2. 이더넷 카드 or 공유기 설정

만약 이더넷을 사용 중(=유선랜)이라면 

(해당 글을 참고하여 세팅할 것)

 

공유기를 사용(=무선랜) 중이라면

제어판 -> 모든 제어판 항목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 왼쪽에 어댑터 설정 변경 

순으로 접근 후 

연결되어있는 wifi 아이콘에 우측 클릭 후 속성 들어가기 -> 구성 -> 고급

-> Wake on Magic Packet(Wake on 매직 패킷)과 Wake on Pattern Match(Wake on 패턴 일치) 항목 활성화

하면 PC 세팅 완료

(회사 PC 사용 중이기에 화면 캡처가 불가능한점 양해부탁드립니다.)

 

3. IP 타임 공유기 설정

먼저 상대적으로 쉬운 IP타임의 경우를 설명해 보면, 공유기 관리 페이지에 접속하여 

(+ 공유기 관리 페이지 접속 방법은 해당 글 참고)

고급 설정 - 특수기능 - WOL 기능 메뉴로 이동

이후 돋보기 버튼을 누르면 현재 접속되어 있는 다양한 PC들이 조회되는데, 이곳에서 내 PC를 선택해 주기만 하면 된다.

선택 후 등록해 주면 하단에 다음과 같이 내 PC가 등록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제 내 PC의 전원을 원격으로 켜고 싶을 때는 PC 켜기에 체크해 준 다음 PC 켜기 버튼만 눌러주면 된다.

 

물론 외부에서 공유기를 접속해야 하는데 이때는 DDNS를 통해 연결하면 된다.

 

고급 설정 - 특수기능 - DDNS 설정

메뉴로 이동한 후 DDNS를 등록해 주면 되는데, 보통은 iptime.org 도메인을 사용한다.

이곳에 서브도메인을 원하는 도메인으로 등록해 주면 외부에서도 연결이 가능하다.

그 외에 앱스토어에서 IP 타임 WOL 앱이나 그 외 WOL 관련 앱을 다운로드하여 사용해도 된다.

 

 

 

 

해당 글의 전반적인 내용들은 해당 글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추가적으로 해당 글도 참고하면 좋을 것 같아 첨부합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