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cordRay

[전선/케이블 용어] 단선, 연선, 케이블선, 절연전선, 나전선 본문

전선 및 케이블

[전선/케이블 용어] 단선, 연선, 케이블선, 절연전선, 나전선

DecordRay 2024. 4. 3. 16:36
728x90
반응형
전선/케이블 관련 용어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전선(단선, 연선)

전선속 구리가 한가닥일 경우 단선, 여러 가닥일 경우 연선 <출처 : 거부기와 들꽃 블로그>

 

단선(solid)은 전선속에 구리가 한가닥만 있을 경우.

연선(standard)은 전선속에 구리가 여러가닥 들어 있을 경우.

 

연선의 경우 7가닥(=1층), 19가닥(=2층), 37가닥(3층), 61가닥(=4층) , 91가닥(=5층) 순으로 만들어 집니다.

총 소선수 구하는 계산식 : 3 * n(n + 1) + 1

* 위 계산식에서 n은 층 수를 의미

Ex) 3층의 경우 : 3 * 3(3+1) + 1 = 37

 

단선과 연선은 전선이라고 칭하며, 아래에서 설명할 케이블의 경우 전선들을 다발로 묶고 외피(=자켓)를 씌운 것입니다.

 

보통 단선의 경우는 잘 구부러지지 않기 때문에 전력을 많이 사용하는 곳에 설치합니다.

반면 연선의 경우는 얇은 선들을 합쳐놓은 것이므로 잘 구부러지는 특징이 있어 작업하기도 좋고 쉽게 끊어지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2. 케이블선

여러가닥의 전선을 모아 하나의 전선으로 만든 것.

 

케이블 내부의 전선을 C라는 단위로 표현하며, 코어(core)라고 읽습니다.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랜선(UTP 케이블)도 케이블 입니다.

연선을 엮어 만든 케이블

 

3. 절연전선

일반적으로 구입하게되는 전선은 모두 절연전선입니다. 또한 우리가 사용하는 전선들도 대부분 절연전선입니다. 

절연전선은 말 그대로 절연체가 입혀져 있기 때문에 우리가 전기가 흐르는 전선을 만지고 있어도 감전되지 않습니다.

 

4. 나전선

나전선은 절연전선과 반대되는 전선입니다.

절연체가 없기 때문에 만지면 바로 감전될 수 있는 위험한 전선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로 송전탑의 송전선로나 일부 시외지역 전봇대 등에서 사용합니다.

강심 알루미늄 연선으로 구성된 나전선 <출처 : indiamart.com>

 

 

728x90
반응형
Comments